레이블이 보훈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보훈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5월 19일 일요일

[조선일보][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임을 위한 행진곡, 5·18기념식서 '합창 對 제창' 논란(2013.05.20)


보훈처 '합창이 맞다'
"공식 기념곡 아니다… 좌파단체가 애국가 대신 부르는 것도 문제"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기념행사의 공식 기념 노래가 아니기 때문에 제창(齊唱)이 아닌 합창으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보훈처 측은 "모든 정부 기념 행사에선 공식 기념 노래만 제창 형식으로 부르고 있다"고 말했다.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등에서 제창을 하는 노래는 모두 공식 기념 노래다. 현재 5·18 행사의 공식 기념 노래는 없다.

하지만 공식 기념 노래가 아니더라도 제창을 할 수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도 5·18이 국가기념일로 승격된 1997년부터 2008년까지 공식 행사에서 제창으로 불렸다. 국가보훈처는 제창에서 합창으로 입장을 바꾼 데 대해 "최근 노래의 상징성이 변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일부 노동·진보단체는 국민의례 대신 민중·노동의례를 진행하며 애국가 대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해왔다는 것이다. 보훈처 관계자는 "작년 통합진보당이 일부 행사에서 국민의례를 무시하고 애국가 대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면서 이 곡에 대한 정치적 논란이 일었다"며 "보훈처 논의 결과 이런 노래를 정부 공식행사에서 애국가처럼 제창 형태로 부르는 건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노래를 부를 때 주먹을 쥐고 흔드는 모습이 5·18의 의미를 폭력적으로 윤색시킬 수 있다"는 문제제기도 보훈처 내부에서 나왔다고 한다.
광주시·5월 단체 '제창이 맞다'
"30년간 행사서 불러왔는데 왜 막나… 기념곡으로 지정하면 될 일"

광주광역시와 시의회, 5월 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은 한목소리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식 공식 식순에 포함시켜 제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제창 거부는) 30년간 5·18추모제와 기념식에서 불려온 '임을 위한 행진곡'을 퇴출시키려는 의도"라며 "이는 5·18 역사를 부정하고 흔적을 지우려는 행위"라고 말한다.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구(舊) 묘역에서 일부 시민사회 단체와 참배객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대회를 열고 있다. /뉴시스
18일 오전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구(舊) 묘역에서 일부 시민사회 단체와 참배객들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대회를 열고 있다. /뉴시스
광주광역시 등 310개 기관·단체가 참여한 '임을 위한 행진곡 5·18 공식기념곡 추진대책위원회'는 지난 17일 성명에서 "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할 수 없는 이유로 '일부 진보·노동 단체가 애국가 대신 부르는 노래'라는 해괴망측한 주장을 들며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며 "이는 5월 역사의 훼손이자 또 다른 분열 책동"이라고 했다. 또 "공식 지정곡이 아니라서 제창할 수 없다면, 지난 2003~2008년 보훈처 주관 기념식 때는 왜 제창했느냐"며 "지정 여부가 문제 된다면 지금이라도 기념곡으로 지정하라"고 했다.

김찬호 5·18 기념재단 사무처장은 "5·18을 기념하고자 하는 이들이 공통적으로 원하는 노래가 '임을 위한 행진곡'인 만큼 이 노래를 기념곡으로 지정하고 제창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마땅한 일"이라며, "국가가 간섭하고 강제하는 것은 5·18 희생자와 유공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