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25일 월요일

[크리스천투데이][김병태 칼럼] 성(性) 접대라니?(2013.03.25)

▲김병태 목사(성천교회 담임).

바울은 교회 감독에 ‘나그네를 대접하는 자’를 세우라고 권했다(딤전 3:2, 딛 1:8). 히브리서 기자 역시 ‘손님 대접하기’를 잊지 말라고 말한다(히 13:2). 누군가를 대접한다는 것은 아름다운 덕이다. 더구나 가난한 자나 나그네를 접대하는 것은 초대교회의 아름다운 영적 미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요즘 이상한 접대로 언론이 달아오르고 있다. ‘성 접대’라는 게 그것이다. 건설업자가 공사를 따내기 위해 호화판 별장에서 성 접대 행위를 해왔다. 동영상까지 촬영했단다. 그 덫에 걸려든 사람들이 누구인가? 고위 공직자, 변호사, 은행 지점장, 지방 건설업체 경영인들이다. 더구나 신임 법무부 차관까지 거명되고 있다.

성 접대가 통용되는 사회가 너무 서글프고 마음 아프다. 왜 정당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일까? 왜 비정상이 정상이 되고, 부당이 합당이 되어야 하는가? ‘세상이 다 그렇고 그렇지 뭐!’라고 하기에는 너무 속상하고 안타깝다. 세상이 그렇게 돌아가고 있다는 것쯤은 익히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그런 사회로 돌아가지 않기를 갈망한다.

성 접대라니? 하나님은 인간에게 소중한 선물로 성(性)을 주셨다. 인간은 이것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하나님이 정하신 범주 내에서이다. 결혼한 배우자를 통해서만 누릴 수 있다. 자신의 배우자 외의 그 어떤 이와도 맺을 수 없는 관계다. 그렇기에 불타는 정욕을 절제하지 않으면 그것은 심각한 죄악이다(고전 7:9).

그런데 세상은 이것을 매매하고 있다.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아름다운 성을 돈으로 산다.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자녀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자신의 성을 다른 사람에게 판다. 쉽게 돈을 벌고 싶단다. 뿐만 아니라 어떤 이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성을 거래로 이용하기도 한다. 너무 불쾌하고 분노를 자아내는 일이기도 하지만, 자신의 쾌락을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의 성을 무참하게 짓밟는 인면수심들도 많다. 그것도 어린 아이의 성을.

어처구니없는 일이 있다. 한 아이의 인생을 엉망진창으로 짓밟고, 한 가정을 파탄지경으로 만든 사람은 몇 년 옥고를 치르고 얼굴을 뻣뻣이 쳐들고 대로를 활보한다. 아니 출옥 후에 다시 그 짓을 한다. 어디 될 법한 일인가? 이게 세상에서 돌아가는 성문화이다. 성경은 말한다. “모든 사람은 결혼을 귀히 여기고 침소를 더럽히지 않게 하라 음행하는 자들과 간음하는 자들을 하나님이 심판하시리라(히 13:4)”.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고린도 지방은 성적 타락이 극심한 지역이었다. 그런데 너무나 안타깝게도 그 흐름이 고린도 교회 안으로 흘러 들어왔다. 낯 뜨겁고 부끄러운 일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불행한 일이다. 불신자들 세계에서도 일어날 수 없는 부끄러운 일이 교회 안에서 버젓이 일어난 것이다. 아들이 아버지의 아내를 취했다. 물론 계모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성적 타락의 극치를 보여주는 일이다.

그런데 더 기가 막힌 것이 있다. 그런 일을 저지르고서도 부끄러운 줄을 몰랐다. 죄를 죄로 느끼지 못한다. 교만하기 그지없었다. 양심이 마비되었다. 어디 그 뿐인가? 고린도 교회는 그러한 일을 보고서도 아무런 조처도 하지 않았다(고전 5:1-4). 죄악을 방조했다. 아니 더 큰 죄의 문을 열어준 셈이다. 어떤 이는 이걸 보고 용기를 얻어 죄를 짓는 것을 죄악시하지도 않을 것이다.

예전 야곱의 가정에서도 부끄러운 일이 일어났다. 야곱의 장남 르우벤. 그는 아버지의 첩인 빌하와 동침했다(창 35:22). 아무리 눈이 맞아도 그렇지,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단 말인가? 이것은 야곱에게 이중적인 고통과 상처를 안겨주었다. 아내의 배신이요, 아버지의 권위에 대한 아들의 도전이다.
최근 국회 법사위에서 차별금지법안을 둘러싸고 갈등하고 있다. 차별금지법안이 뭔가? 성별, 나이, 신분, 장애, 언어, 인종, 지역에 대한 차별을 제한하자는 법이다. 만약 이를 어길 시에는 민형사상의 처벌을 받도록 하자는 것이다.

복음에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차별이 없다고 했는데, 참 잘 된 거네? 그렇게 생각하는가? 물론 유익한 면이 있다. 그런데 차별금지법안에는 독소조항이 숨어 있다. 만약 이 법안대로 한다면 앞으로 강단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설교를 할 수 없게 된다. 성차별을 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사회를 소돔과 고모라 성처럼 만들려고 하는가? 불 심판을 자처하려는가?

어디 그 뿐인가? 앞으로 강단에서 이단에 대한 강의나 설교도 할 수 없게 된다. 이것 역시 종교와 사상에 대한 차별을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차별금지법안이 갖고 있는 웃는 얼굴만 보고 박수를 쳐서는 안 된다. 그 속에 숨어 있는 사단의 얼굴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의 강력한 대처가 필요하다.

그리스도인은 선한 데 지혜롭고, 악한 데 미련해야 한다(롬 16:19b). 마땅히 진리 안에서 선한 것과 악한 것을 분별할 줄 알아야 한다. 선한 일에는 서로 손을 잡아야 한다. 그러나 악한 일에는 과감하게 결별해야 한다. 아니, 그것을 대항하여 손을 맞잡고 강력히 싸워야 한다.

가슴 아프게도 성 문화가 원래에서 심각하게 이탈하고 있다. 이탈은 불행을 자초한다. 건전한 사회와 조직의 기강을 뒤흔든다. 속한 회귀가 필요하다. 원래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위험하다. 건강한 사회가 되려면, 건강한 신앙을 유지하려면, 바른 신학을 고수하려면, 반드시 모든 게 원래대로 돌아가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