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권 국가에 성경 보내기 운동을 펴고 있는 국제 선교단체 ‘오픈도어스’가 최근 발표한 ‘월드워치 리스트’에서 북한은 올해도 기독교 박해국 1위를 차지했다. 이 단체가 종교 박해국 리스트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후 11년째 지속된 현상이다.
오픈도어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구상에서 기독교인으로 살아가기 가장 힘든 나라다. 기독교인들은 적대시되며 체포, 구금, 고문 심지어 공개 처형의 대상이 되고 있다.
15호 정치범 수용소에는 6000명에 달하는 기독교인이 구금돼 있다. 오픈도어스는 이런 억압에도 불구하고 40만명으로 추산되는 기독교인들이
지하교회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면서 김정은 체제에서 진정성 있는 변화가 나오기를 기도하자고 제안했다.
북한의 종교 탄압은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미 국무부가 2001년부터 매년 지정해 온 종교자유특별우려국(CPCs) 리스트에도 북한은 단골로 올라 있다. 1998년 제정된
국제종교자유법에 따라 국무부가 매년 발표하는 세계종교자유 연례 보고서도 지난해 북한의 종교 상황을 ‘참담하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 북한인권정보센터가 발간한 2011년 북한 인권백서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종교사범을 포함한 정치범
292명이 공개적으로, 106명은 비공개로 처형당했다.
북한의 종교탄압 대상은 주민들에 그치지 않는다. 중국에서 탈북자 지원 활동을 펴던 김동식 목사는 2000년 북한 기관원들에 의해 납북된 뒤 숨졌다.
2011년 8월 중국 단둥에서 탈북자 선교활동을 하다 의문사한 김창환 선교사는 최근 간첩 사건 관련 국내 재판 과정에서 북한 공작원이 사용하는
독극물 중독으로 숨진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양심과 신앙의 자유는 보편적 인권으로, 체제 여부를 떠나 보장돼야 한다. 사회주의 국가라 하더라도 종교를 이유로 국가권력이 잔혹한 고문이나 인명 살상, 무자비한
기본권 유린 행위를 일삼는다면 국제사회가 개입하는 게 당연하다. 북한 스스로도 1998년 헌법에 ‘공민은 신앙의 자유를 가진다’는 문구를
삽입했다. 중국 당국은 최근 기독교 연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과 정치·경제 상황이 긴밀하게
연계돼 있는 우리나라도 인류 보편의 가치가 훼손되는 북한 상황을 방관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2005년 국회에 제출된 북한인권법은 9년째 논란만
거듭하고 있다.
북한 인권 문제와 남북 교류를 대척점에 놓고 딜레마에만 빠져 있는 것은 북한의 의도에 끌려가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다. 2004년 북한인권법을 제정하고 지난 1일에는 탈북아동 복지 법안까지 통과시킨 미국 등 국제사회의 노력에 발맞춰 우리 정부나 인권단체도 북한 인권을 개선시킬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