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당선인·여야 대표 회동… 文 "대북 특사 검토" 권유엔 朴 부정적
고교 무상교육·근로시간 단축·일감 몰아주기 규제
등
공통공약 우선 처리… 2월 국회서 15개가량 입법화 전망
일각선 "이름 같지만 내용 다른 법안 많아 쉽지는 않아"
세 사람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북핵 관련 3자 긴급 회동'에서 북핵 및 국정 운영과 관련한 6개 항에 합의했다. 북한 핵·미사일 도발을 앞두고 대통령 또는 대통령 당선인이 여야 대표와 한목소리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던진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세 사람은 또 여야 간 국정 협의체를 구성해 대선 공통 공약을 우선 처리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2월 국회에서 고교 무상 교육과 0~5세 무상 보육 강화 등 15개가량의 대선 공통 공약이 입법화될 것으로 보인다.
◇박 당선인 "북핵에 보상 없다"
세 사람은 북한에 핵실험 등 도발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어떤 경우에도 북한의 핵무장을 용납할 수 없으며 만일 북한이 국제사회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핵실험 등 도발을 강행할 경우 6자 회담 당사국과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또 북한이 모든 안보리 결의를 준수하고 국제사회와 맺은 비핵화 약속을 지킬 것을 요구했다.
박근혜 당선인의 박선규 대변인, 정성호 민주통합당 수석대변인,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왼쪽부터)이 7일 북한 핵실험 관련 여야 3자 회동 후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문 위원장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대북 특사 파견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권유했지만, 박 당선인은 부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 "공통 공약부터 2월 처리"
세 사람은 민생이 최우선이라는 점에 공감하고 대선 때 각자가 내세웠던 공통 공약을 조속히 처리키로 합의했다. 문 위원장이 민생 법안 처리를 먼저 제안했고, 황 대표가 추진 의사를 밝히자 박 당선인은 "굉장히 고맙게 생각한다"고 했다.
양당이 우선 처리하려는 법안은 경제 민주화와 관련된 내용이 상당수다. 일감 몰아주기 및 부당 내부거래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의 '독점규제법', 부당 하도급 거래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제를 확대하는 '하도급거래공정법', 중소기업 적합 업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대·중소상생협력촉진법' 등이다. 박 당선인과 문재인 전 후보가 함께 약속했던 '근로시간 단축' '최저임금 현실화'도 공통 처리 법안으로 꼽힌다.
'北核 사전경고' 여야 지도자가 만나 한목소리 낸 건 처음… "여야 국정 협의체 운영"…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가운데)이 7일 국회에서 열린‘북핵 관련 3자 긴급 회동’에서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왼쪽), 민주통합당 문희상 비대위원장과 만나 웃으며 인사하고 있다. 세 사람은 북한 핵실험 중단을 촉구하고, 여야 협의체 구성과 대선 공통 공약 처리에 합의했다. 여야 지도자가 공동으로 북핵에 대한 사전 경고 메시지를 던진 것은 처음이다. /사진공동취재단
그러나 국회 일각에선 "법안명은 같지만 내용이 다른 경우가 많아 법안 처리가 순탄치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민주당이 '25개 공통 공약'에 포함시킨 방송법·방송통신위원회법·방송문화진흥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등은 실제론 새누리당 안(案)과 차이가 크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