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비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비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5월 27일 월요일

[조선일보]최경환 "朴비난 이정희, 어느 나라 정당"(2013.05.28)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최 원내대표는 "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은 우리 국민을 모독한 것으로 대단히 잘못된 일"이라고 말했다. 2013.5.2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최 원내대표는 "북한이 박근혜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비난한 것은 우리 국민을 모독한 것으로 대단히 잘못된 일"이라고 말했다. 2013.5.2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8일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를 향해 "박근혜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비난한 북한에는 일언반구 없이 우리 대통령을 비난한 통진당은 어느 나라 정당이냐"고 강하게 비판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며칠전에 북한이 박 대통령을 원색비난 했는데 이는 우리 국민을 모독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김한길 민주당 대표께서는 (북한에 대해) 적절히 지적하셨는데 이에 비해 이정희 통진당 대표는 북한에 대해선 일언반구 없이 우리 대통령을 비난했다"며 "이는 과연 통진당이 어느 나라 정당인지 구분이 안가는 처사로 국민적 비판을 받아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국가 최고 지도자에 대해선 최소한의 예의를 갖추는 게 기본"이라며 "북한에 재발방지를 엄중히 촉구하며 향후 이런 사태가 재발하면 그에 따른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다는 점을 경고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이정희 대표는 통합진보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미국 관계자와 만나 (북한과) 대화 여지를 좁히는 강경발언을 하고 있다. 실패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고스란히 되풀이하고 있다"며 북한이 제안한 6·15 남북행사 공동개최를 받아들이라고 말한 바 있다.

최 원내대표는 이날 6월 임시국회에서 창조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지난 대선 공약 입법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최 원내대표는 "지난 대선 당시 약속했던 공약은 최대한 빨리 속도를 내서 6월 국회 내에 가급적 처리를 완료하고 특히 정보통신기술육성법을 비롯한 창조경제와 관련한 것을 최우선적으로 처리할 방침"이라며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당에 창조경제 특위 등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상임위원회 위원장과 간사를 정무조정위원에 참여시키는 점을 언급, "앞으로 (정조위원회) 활발한 활동을 통해 그동안 일각에서 제기됐던 상임위와 당 정책위 간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해소하도록 각별히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최 원내대표는 최근 잇따르는 야생 진드기 바이러스 감염 또는 감염 의심 사례에 대해 "국민의 불안이 큰데 보건당국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 비율이 전체 0.5%에 불과하다는 등 안이한 해명성 설명만 내놓아 불안을 증폭시킨다"며 "보건당국은 예방수칙 홍보를 강화하고 더 이상 감염 의심 환자가 없도록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2013년 1월 31일 목요일

[최종천 칼럼] 더 깊이 생각하고, 한 번 더 배려하는 삶(2013.02.01)

설교하는 목사로서 이런 생각 자주 듭니다. “우리의 영성은 자료와 정보의 편집 능력일까? 아니면, 묵상에 의한 영적 깨달음일까?”
 
게으른 저는 후자를 더 좋아합니다. 물론 묵상도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아무런 무의 상태에서 묵상은 진보의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순전한 묵상에 의한 한 계단 한 계단 자체가 그 기반일 수는 있습니다.

소화되지 않은 지식은 흡수되지 않은 영양분처럼 감동이 없습니다. 지식의 전달보다 윤택한 것은, 체화되어 새롭게 피어나는 진리의 힘입니다.

변화무쌍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보장된 안정이 없는 것이 인생이지만, 그래도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빠릅니다.

인기란 반드시 솟구치는 속도 그대로 고꾸라질 것입니다. 받은 박수의 양만큼, 비난의 함성도 같은 양일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기를 구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것이 없으며, 자극적 언어와 감정의 움직임을 징검다리로 쌓아간 탑은 반드시 무너집니다.

삶을 지탱하거나 무너뜨리는 것은 환호의 박수나 비난의 손가락질이 아닙니다. 너무나도 밋밋이 여겨졌던 우리 삶의 성실한 습관과, 별 맛 없는 우리가 의식하지 못했던 기본적 애씀과 능력이, 중요한 순간 우리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것이 하나님이 그 백성을 인정하는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우리 성도님들이 더 깊은 생각으로 말하고 움직이는 백성이 되기를 기도합니다. 때로는 절제가 더 발언력이 있고, 때로는 표현이 더 애절한 사랑을 이루는, 다양한 삶이 우리의 일상이지만, 그 하나 하나를 결정하는 데에 더 깊은 생각과 배려로 하루 하루를 이루가 바랍니다.

이제 2013년 한 해도 한 달이 지났습니다. 이른바 무엇인가의 기대로 괜한 힘이 나는 신년 효과도 흘러갔습니다. 이제는 성실한 노력하기와, 의지적 기뻐하기가, 우리 삶을 든든히 세워갈 것입니다.

저는 우리 성도들을 생각하면 저절로 마음이 기뻐지고 따스해집니다. 우리 하나님이 그 백성인 우리를 생각하실 때, 그 기뻐하심은 인간의 마음 이상일 것입니다. 그 하나님의 기뻐하심을 입은 우리 인간 세계의 삶에도, 귀찮음을 버리고, 더 깊이 생각하고, 한 번 더 마음 써 배려하며 인생을 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