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당 "법대로 국고보조금 반환 안해"… 또 국민세금 갖고 '먹튀' 논란
진보당 선거 때마다 돈 구설수… 이석기, 국고 4억 사기
재판 중
진보당 "대선 예산만 53억"
◇새누리당 "또 선거 장사했다"
새누리당 이상일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정희 후보는 사퇴했지만 대선 국고보조금 27억원은 그대로 받게 된다"며 "그가 염치없이 이 돈을 받을 경우 '먹튀'를 하는 것이라는 국민적 비난에 직면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결국 이번 선거도 예년과 다른 점 하나도 없이 선거 장사를 한 것"이라며 "이제 국고보조금 제도를 손볼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 측 김미희 대변인은 선관위에 공식 후보 등록만 하면 보조금을 받고 이후 사퇴해도 반환 의무가 없게 되어 있는 선거법 조항대로 하겠다고 했다.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선 후보가 16일 오후 국회에서 후보 사퇴 선언을 한 뒤 기자회견장을 떠나고 있다. /전기병 기자
진보당은 민주노동당 시절 때부터 당선 가능성이 거의 없는 선거에도 대거 후보를 내왔다. 국가가 일정 비율 이상을 득표한 후보에게 선거 뒤에 홍보물 제작비와 방송 광고·연설비 등 선거운동에 들어간 비용을 대신 갚아 주는 선거비용 보전제도를 이용하기 위해서였다. 또 선거 전문 대행업체를 세워 보전되는 선거비용을 이들 업체의 수입으로 돌려줬다. 일부는 당에 다시 흘러들어 갔다는 의혹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진보당 이석기 의원은 스스로 설립·운영했던 선거홍보업체 CN커뮤니케이션즈(CNC)를 통해 이른바 '진보 후보'들의 선거 홍보를 대행하면서 선관위에 선거비용을 실제보다 부풀려 청구해 타낸 혐의(사기 등) 등으로 지난 10월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검찰이 조사로 밝혀낸 이 의원의 선거 보전금 사기 규모는 4억여원이었다.
진보당은 이번 대선에서 44차례까지 할 수 있는 TV와 라디오 연설을 단 한 차례만 했다. 두 차례 배포할 수 있는 공보물도 한 번만 제작했고, 유세 차량도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국고로부터 받은 27억원이 어디에 쓰였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일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공보물과 플래카드 외에는 이정희 후보에 대해 접할 수 있는 수단은 거의 없었다"며 "27억원을 어디에 썼는지 밝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진보당 측은 이번 대선을 치르는 데 약 53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플래카드와 공보물을 제작하고, 유세 차량을 빌리고, 선거운동원 급여를 지급하는 데 그만큼의 돈이 든다는 것이다.